목차
개요
다음은 2011년 5급 국가공무원 민간경력자 일괄채용 제1차 시험 자료해석영역 력책형 4번 문제다.
문제
문 4. 다음 <표>는 조업방법별 어업생산량과 어종별 양식어획량에 대한 자료이다. 이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표 1> 조업방법별 어업생산량
(단위: 만톤)
연 도 조업방법 |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해면어업 | 109.7 | 110.9 | 115.2 | 128.5 | 122.7 |
양식어업 | 104.1 | 125.9 | 138.6 | 138.1 | 131.3 |
원양어업 | 55.2 | 63.9 | 71.0 | 66.6 | 60.5 |
내수면어업 | 2.4 | 2.5 | 2.7 | 2.9 | 3.0 |
계 | 271.4 | 303.2 | 327.5 | 336.1 | 317.5 |
※ 조업방법은 해면어업, 양식어업, 원양어업, 내수면어업으로 이루어짐.
<표 2> 어종별 양식어획량
(단위: 백만마리)
연 도 어 종 |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조피볼락 | 367 | 377 | 316 | 280 | 254 |
넙치류 | 97 | 94 | 97 | 98 | 106 |
감성돔 | 44 | 50 | 48 | 46 | 35 |
참돔 | 53 | 32 | 26 | 45 | 37 |
숭어 | 33 | 35 | 30 | 26 | 29 |
농어 | 20 | 17 | 13 | 15 | 14 |
기타 어류 | 28 | 51 | 39 | 36 | 45 |
계 | 642 | 656 | 569 | 546 | 520 |
① 총어업생산량의 전년대비 증가율은 2007년이 2008년보다 크다.
② 2005년부터 2009년까지 어업생산량이 매년 증가한 조업방법은 내수면어업이다.
③ 2005년부터 2009년까지 연도별 총양식어획량에서 조피볼락이 차지하는 비율은 매년 50% 이상이다.
④ 기타 어류를 제외하고, 2009년 양식어획량이 전년대비 감소한 어종 중 감소율이 가장 작은 어종은 농어이다.
⑤ 기타 어류를 제외하고, 양식어획량이 많은 어종을 순서대로 나열하면, 2005년의 순서와 2009년의 순서는 동일하다.
출처: 사이버국가고시센터
문제 해설
① 총어업생산량의 전년대비 증가율은 2007년이 2008년보다 크다.
⇒ 2007년 총어업생산량의 전년대비 증가율은 \frac{(372.5-303.2)}{303.2}=\frac{69.3}{303.2}≒ 22.9%이다.
2008년 총어업생산량의 전년대비 증가율은 \frac{(336.1-327.5)}{327.5}=\frac{8.6}{327.5}≒ 2.6%이다.
따라서 총어업생산량의 전년대비 증가율은 2007년이 2008년보다 크다.
빠른 계산 팁
2007년, 2008년 각각의 전년대비 증가율이기 때문에 분모는 각각 2006년, 2007년 총어업생산량이 된다. 표를 보면 총어업생산량은 2006년에는 303.2, 2007년에는 327.5로 2007년이 더 크다.
분자는 2007년에는 (327.5-303.2), 2008년에는 (336.1-327.5)로, 어림 계산하면 2007년이 더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분모는 상대적으로 작을수록, 분자는 상대적으로 클수록 분수의 값이 커진다.
예시)$$\frac{40}{50}>\frac{30}{100}$$
따라서 \frac{69.3}{303.2}>\frac{8.6}{327.5}이기 때문에 보기의 내용은 옳다.
② 2005년부터 2009년까지 어업생산량이 매년 증가한 조업방법은 내수면어업이다.
(단위: 만톤)
연 도 조업방법 |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내수면어업 | 2.4 | 2.5 | 2.7 | 2.9 | 3.0 |
⇒ 위 표에 나온 바와 같이 내수면어업의 어업생산량은 매년 증가했다.
③ 2005년부터 2009년까지 연도별 총양식어획량에서 조피볼락이 차지하는 비율은 매년 50% 이상이다.
(단위: 백만마리)
연 도 어 종 |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조피볼락 | 367 | 377 | 316 | 280 | 254 |
계 | 642 | 656 | 569 | 546 | 520 |
50% | 321 | 328 | 284.5 | 273 | 260 |
⇒ 연도별 총양식어획량의 50%의 수치를 계산하여 연도별 조피볼락의 어획량을 비교한다.
2005년부터 2008년까지 조피볼락의 어획량이 총양식어획량의 50%를 넘는다. 하지만 2009년의 경우 조피볼락의 어획량이 총양식어획량의 50%에 미달하기 때문에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빠른 계산팁
(단위: 백만마리)
연 도 어 종 |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조피볼락 | 367 | 377 | 316 | 280 | 254 |
72 | 74 | 62 | 56 | 50 | |
계 | 642 | 656 | 569 | 546 | 520 |
⇒ 조피볼락 어획량의 앞 두 자리에 2를 곱한다. 그러면 2005년부터 72, 74, 62, 56, 50이 나온다. 이를 총양식어획량의 앞 두자리와 비교한다. 그러면 2009년 총양식어획량 앞 두 자리만이 조피볼락 어획량의 앞 두자리의 2배보다 더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2009년 조피볼락 어획량이 총양식어획량의 50%에 미달한다는 뜻이다.
④ 기타 어류를 제외하고, 2009년 양식어획량이 전년대비 감소한 어종 중 감소율이 가장 작은 어종은 농어이다.
(단위: 백만마리)
연 도 어 종 |
2008 | 2009 | 감소량 (2008-2009) |
감소율 \frac{(2008-2009)}{2008} |
조피볼락 | 280 | 254 | 26 | \frac{26}{280}≒ 9% |
넙치류 | 98 | 106 | -8 | – |
감성돔 | 46 | 35 | 11 | \frac{11}{46}≒ 24% |
참돔 | 45 | 37 | 8 | \frac{8}{45}≒ 18% |
숭어 | 26 | 29 | -3 | – |
농어 | 15 | 14 | 1 | \frac{1}{15}≒ 7% |
계 | 546 | 520 | – |
⇒ 먼저 2008년에 비해 2009년 양식어획량이 감소한 어종을 파악하고 수치를 계산한다.
위 표에 따르면 조피볼락, 감성돔, 참돔, 농어가 전년대비 어획량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에 더하여 2008년을 기준으로 감소율을 계산한다. 그러면 순서대로 9%, 24%, 18%, 7%가 나온다.
마지막에 농어가 전년대비 어획량의 감소율이 가장 작은 어종이다.
빠른 계산팁
전년대비 감소량을 빠르게 구한다. 그러면 농어가 1마리로 감소량이 제일 작은 것으로 나온다. 농어의 전년대비 감소율은 \frac{1}{15}이 되는데 분자가 1이고, 분모가 15가 된다.
참돔의 경우 감소율은 \frac{8}{45}이 된다. 분수의 분모가 45로 농어의 3배인데 비해 분자는 8로써 농어의 8배가 된다. 따라서 농어의 감소율보다 크다.
$$\frac{8}{45}>\frac{1}{15}=\frac{1×3}{15×3}$$
감성돔의 경우 참돔의 감소율의 분모와 비슷한 46이고 분자는 11이기 때문에 이 역시 농어의 감소율보다 크다.
조피볼락의 감소율의 경우 \frac{26}{280}이기 때문에 농어 감소율 분모, 분자에 20을 곱해 비교한다.
$$\frac{26}{280}>\frac{20}{300}=\frac{1×20}{15×20}$$
조피볼락의 경우 분모가 농어보다 작은데 비해 분자는 더 크기 때문에 조피볼락의 감소율은 농어의 감소율보다 크다.
따라서 농어의 감소율이 가장 작다.
⑤ 기타 어류를 제외하고, 양식어획량이 많은 어종을 순서대로 나열하면, 2005년의 순서와 2009년의 순서는 동일하다.
(단위: 백만마리)
연 도 어 종 |
2005 | 순서 | 2009 | 순서 |
조피볼락 | 367 | 1 | 254 | 1 |
넙치류 | 97 | 2 | 106 | 2 |
감성돔 | 44 | 4 | 35 | 4 |
참돔 | 53 | 3 | 37 | 3 |
숭어 | 33 | 5 | 29 | 5 |
농어 | 20 | 6 | 14 | 6 |
⇒ 2005년과 2009년의 어획량 순서를 비교하면 서로 동일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정답은 ③번이다.
2011 민경채 PSAT 자료해석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자료해석 력책형 25번 (월별 상품 판매고 단순이동평균 계산 팁)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자료해석 력책형 24번 (의약품 특허출원 다국적기업 다이어트제)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자료해석 력책형 23번 (식품사업부 외식사업부 전입 전출)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자료해석 력책형 22번 (지역별 영유아 인구수 보육시설 정원)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자료해석 력책형 21번 (외국인 소유 토지면적 분수 대소 비교)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자료해석 력책형 20번 (경제 전망 보고서 실업률 경제 성장률 소비자물가)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자료해석 력책형 19번 (국민은행 총자산 당기순이익 그래프)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자료해석 력책형 18번 (교통사고 발생건수 분수 대소 비교)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자료해석 력책형 17번 (양성평등정책)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자료해석 력책형 16번 (친환경 농산물 생산량)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자료해석 력책형 15번 (회원기금원금 회원급여저축총액)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자료해석 력책형 14번 (정부지원 직업훈련 실업자 재직자 지원금 분수 대소 비교)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자료해석 력책형 13번 (암 발생률 그래프 분석)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자료해석 력책형 12번 (사채발행차금 사채 이자비용 액면이자)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자료해석 력책형 11번 (TV 프로그램 시청률 45도선 보조선)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자료해석 력책형 10번 (석유수요 중국 인도 중동 남미)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자료해석 력책형 9번 (세계 에너지 수요 보고서 자료 이용)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자료해석 력책형 8번 (외식업체 공급업체 선호도)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자료해석 력책형 7번 (공익근무요원 분수 대소 비교)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자료해석 력책형 6번 (은행 영업수익 이자수익)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자료해석 력책형 5번 (외국인 입국자 수 그래프 보고서 자료 이용)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자료해석 력책형 4번 (조피볼락 분수 대소 비교)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자료해석 력책형 3번 (소득탄력성 소득 구매량)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자료해석 력책형 2번 (약물 완치 환자수)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자료해석 력책형 1번 (지식산업센터 개별입지)
PSAT 분수 대소 비교 문제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자료해석 력책형 7번 (공익근무요원 분수 대소 비교)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자료해석 력책형 18번 (교통사고 발생건수 분수 대소 비교)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자료해석 력책형 14번 (정부지원 직업훈련 실업자 재직자 지원금 분수 대소 비교)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자료해석 력책형 4번 (조피볼락 분수 대소 비교)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자료해석 력책형 21번 (외국인 소유 토지면적 분수 대소 비교)
2011 민경채 PSAT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상황판단 재책형 5번 (의회 의결정족수)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언어논리 민책형 12번 (개발원조, 개발협력)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상황판단 재책형 20번 (정당 중앙당 창당 등록)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상황판단 재책형 10번 (취득세 등록세 계산)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상황판단 재책형 4번 (감사 감사인)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상황판단 재책형 16번 (직육면체 건물 페인트)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언어논리 민책형 3번 (생물다양성 정책)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상황판단 재책형 17번 (근로시간 생산성 생산량)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언어논리 민책형 13번 (묵자, 겸애)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상황판단 재책형 19번 (도덕률 관습 사회 관용)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상황판단 재책형 11번 (신재생에너지 녹색성장)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언어논리 민책형 23번 (쾌락 가치 시 호떡 행복)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상황판단 재책형 22번 (축구대회 승점 골득실차)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상황판단 재책형 18번 (위계 공무집행방해죄)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언어논리 민책형 21번 (독일 가톨릭 영리활동)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언어논리 민책형 25번 (소리 음원 고주파 음색)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상황판단 재책형 25번 (직구 과세표준 목록통관 관세 계산)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언어논리 민책형 2번 (유토피아, 정원사, 산지기)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상황판단 재책형 9번 (ICC 재판관할권)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상황판단 재책형 2번 (다문화주의 정책)
민경채 PSAT 자료해석
민경채 PSAT
PSAT 자료해석
- [PSAT] 2020 국가직 7급 예시문제 자료해석 A책형 1번 (중요도 만족도 산술평균 편차 합)
- [PSAT] 2020 국가직 7급 예시문제 자료해석 A책형 2번 (달걀 산란일자 표시제 계도기간)
- [PSAT] 2020 국가직 7급 예시문제 자료해석 A책형 4번 (주관적 웰빙 지수 종합 지수 산술평균)
- [PSAT] 2020 국가직 7급 예시문제 자료해석 A책형 3번 (연평균 증가율 판매수량 평균 판매단가 지수)
공무원 PSAT 기출
- [PSAT] 2020 국가직 7급 예시문제 상황판단 A책형 4번 (신용카드 항공 마일리지 적립 이용금액)
- [PSAT] 국가직 7급 모의평가 언어논리 6번 (코로나 19 긴급재난지원금 사회적 거리두기 집합금지 집합제한업종)
- [PSAT] 국가직 7급 모의평가 언어논리 20번 (연역논증 귀납논증 타당한 논증 보편적 통계적 일반화 삼단논법 유비추론 논리 문제)
- [PSAT] 국가직 7급 모의평가 언어논리 9번 (호기성 세균 혐기성 세균 통성세균 발효 산소)
- [PSAT] 국가직 7급 모의평가 언어논리 16번 (지방자치단체 통합 안건 논리 문제)
- [PSAT] 2020 국가직 7급 예시문제 언어논리 A책형 4번 (거짓말 의도적 거짓말 결과적 거짓말)
- [PSAT] 국가직 7급 모의평가 언어논리 2번 (인조 남한산성 김상헌 척화론 최명길 주화론 송시열 효종 노론)
- [PSAT] 국가직 7급 모의평가 언어논리 1번 (조소앙 대한민국임시헌장 대동단결선언 대한민국 임시정부)
- [PSAT] 2020 국가직 7급 예시문제 언어논리 A책형 3번 (장난감 대여 서비스 운영규정 조례)
- [PSAT] 국가직 7급 모의평가 언어논리 23번 (종 차별주의 종 평등주의 차별적 대우)
- [PSAT] 국가직 7급 모의평가 언어논리 22번 (사카린 암 쥐 발암물질 유효성 투여량)
- [PSAT] 국가직 7급 모의평가 언어논리 12번 (교육 제도 대학교 평준화 정시 확대 수시 축소 고교 평준화 논리 문제)
- [PSAT] 2020 국가직 7급 예시문제 상황판단 A책형 2번 (지진 지진발생문자)
- [PSAT] 2020 국가직 7급 예시문제 상황판단 A책형 1번 (민법 위법행위 손해배상책임)
- [PSAT] 2020 국가직 7급 예시문제 언어논리 A책형 1번 (보도자료 작성원칙 황사)
- [PSAT] 국가직 7급 모의평가 언어논리 17번 (갑진 을현 병천 가인 나운 다은 라연 행정안전부 고용노동부 보건복지부 논리 문제)
- [PSAT] 국가직 7급 모의평가 언어논리 5번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연명의료 전문 상담사 보건소)
- [PSAT] 국가직 7급 모의평가 언어논리 21번 (자극 X 대뇌피질 신경세포 신경교세포 신경전달물질 α DNA RNA)
- [PSAT] 국가직 7급 모의평가 언어논리 3번 (질병 병균 바이러스 개인적 요인 사회적 요인)
- [PSAT] 국가직 7급 모의평가 언어논리 24번 (조례 운영규정 출산 예정일 출산일 산모 신생아 건강관리 서비스 주민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