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언어논리 민책형 6번 (가축화, 폴란)

개요

다음은 2011년 5급 국가공무원 민간경력자 일괄채용 제1차 시험 언어논리영역 민책형 6번 문제다.

문제

문 6. 다음 글의 핵심 논지로 가장 적절한 것은?

폴란은 동물의 가축화를 ‘노예화 또는 착취’로 바라보는 시각은 잘못이라고 주장한다. 그에 따르면, 가축화는 ‘종들 사이의 상호주의’의 일환이며 정치적이 아니라 진화론적 현상이다. 그는 “소수의, 특히 운이 좋았던 종들이 다윈식의 시행착오와 적응과정을 거쳐, 인간과의 동맹을 통해 생존과 번성의 길을 발견한 것이 축산의 기원”이라고 말한다. 예컨대 이러한 동맹에 참여한 소, 돼지, 닭은 번성했지만 그 조상뻘 되는 동물들 중에서 계속 야생의 길을 걸었던 것들은 쇠퇴했다는 것이다. 지금 북미 지역에 살아남은 늑대는 1만 마리 남짓인데 개들은 5천만 마리나 된다는 것을 통해 이 점을 다시 확인할 수 있다. 이로부터 폴란은 ‘그 동물들의 관점에서 인간과의 거래는 엄청난 성공’이었다고 주장한다. 그래서 스티븐 울프는 “인도주의에 근거한 채식주의 옹호론만큼 설득력 없는 논변도 없다. 베이컨을 원하는 인간이 많아지는 것은 돼지에게 좋은 일이다.”라고 주장하기도 한다.
그런데 어떤 생명체가 태어나도록 하는 것이 항상 좋은 일인가? 어떤 돼지가 깨끗한 농장에서 태어나 쾌적하게 살다가 이른 죽음을 맞게 된다면, 그 돼지가 태어나도록 하는 것이 좋은 일인가? 좋은 일이라고 한다면 돼지를 잘 기르는 농장에서 나온 돼지고기를 먹는 것은 그 돼지에게 나쁜 일이 아니라는 말이 된다. 아무도 고기를 먹지 않는다면 그 돼지는 태어날 수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 돼지를 먹기 위해서는 먼저 그 돼지를 죽여야 한다. 그렇다면 그 살해는 정당해야 한다. 폴란은 자신의 주장이 갖는 이런 함축에 불편함을 느껴야 한다. 이러한 불편함을 폴란은 해결하지 못할 것이다.

① 종 다양성을 보존하기 위한 목적으로 생명체를 죽이는 일은 지양해야 한다.
② 생명체를 죽이기 위해서 그 생명체를 태어나게 하는 일은 정당화되기 어렵다.
③ 어떤 생명체가 태어나서 쾌적하게 산다면 그 생명체를 태어나게 하는 것은 좋은 일이다.
④ 가축화에 대한 폴란의 진화론적 설명이 기초하는 ‘종들 사이의 상호주의’는 틀린 정보에 근거한다.
⑤ 어떤 생명체를 태어나게 해서 그 생명체가 속한 종의 생존과 번성에 도움을 준다면 이는 좋은 일이다.

출처: 사이버국가고시센터

문제 해설

① 종 다양성을 보존하기 위한 목적으로 생명체를 죽이는 일은 지양해야 한다.

⇒ 폴란에 따르면 가축화는 ‘종들 사이의 상호주의’의 일환이며 정치적이 아니라 진화론적 현상이며 “소수의, 특히 운이 좋았던 종들이 다윈식의 시행착오와 적응과정을 거쳐, 인간과의 동맹을 통해 생존과 번성의 길을 발견한 것이 축산의 기원”이라고 말하고 있다.

하지만 둘째 문단에서 이러한 생존과 번성을 유지하기 위해 인간이 먹을 수 있도록 잘 기른 (가축화된) 돼지를 죽여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생존과 번성’을 위해 어떤 생명체를 태어나게 하기 위해서는 그 생명체를 죽여야 하며 폴란의 주장에는 이러한 살해를 정당성이 함축되어 있다고 언급하고 힜다. 또한 이러한 함축에 불편함을 느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종 다양성을 보존하기 위한 목적으로 생명체를 죽이는 일은 지양해야 한다는 언급은 찾을 수 없다.

② 생명체를 죽이기 위해서 그 생명체를 태어나게 하는 일은 정당화되기 어렵다.

⇒ 둘째 문단에서 ‘어떤 생명체가 태어나도록 하는 것이 항상 좋은 일인가? 어떤 돼지가 깨끗한 농장에서 태어나 쾌적하게 살다가 이른 죽음을 맞게 된다면, 그 돼지가 태어나도록 하는 것이 좋은 일인가?‘라며 의문을 나타낸다.

그러면서 아무도 고기를 먹지 않는다면 그 돼지는 태어날 수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 돼지를 먹기 위해서는 먼저 그 돼지를 죽여야 한다. 그렇다면 그 살해는 정당해야 한다. 폴란은 자신의 주장이 갖는 이런 함축에 불편함을 느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폴란이 주장하는 가축화에 대해 정당화가 어렵다는 지문의 논지와 보기의 내용이 일치힌다.

③ 어떤 생명체가 태어나서 쾌적하게 산다면 그 생명체를 태어나게 하는 것은 좋은 일이다.

⇒ 보기의 내용은 폴란이 주장하는 것과 일치하지만 지문의 핵심 논지는 아니다.

④ 가축화에 대한 폴란의 진화론적 설명이 기초하는 ‘종들 사이의 상호주의’는 틀린 정보에 근거한다.

⇒ ‘종들 사이의 상호주의’가 틀린 정보에 근거하는지는 언급되지 않았다.

⑤ 어떤 생명체를 태어나게 해서 그 생명체가 속한 종의 생존과 번성에 도움을 준다면 이는 좋은 일이다.

⇒ 이 내용 역시 첫째 문단에서 폴란이 주장하는 내용과 일치한다.

정답은 ②번이다.

2011 민경채 PSAT 언어논리

2011 민경채 PSAT

민경채 PSAT 언어논리

민경채 PSAT

PSAT 언어논리

공무원 PSAT 기출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